문문칩과 혈자리출처: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 01용천혈
- 족소음신경의 혈자리.
발가락을 내놓고 발바닥 길이를 3등분한 앞부위의 중심이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긴 의식 장애, 조현증의 흥분형, 조울병, 히스테리, 급성 간염, 고혈압증, 두통, 이명, 시력 장애, 기면증, 코피, 편도선염, 기관지 천식, 객혈, 두근거림 등 이를 악무는 데 쓴다.

- 02태충혈
- 족궐음간경의 혈자리.
발등에서 제1, 제2척골이 갈라진 사이이며 발가락 사이로부터 2치 위에 있다. 간의 장혈기능이 장애된 부정자궁출, 토혈, 항문출혈과 결막염, 각막염, 야맹증 등 눈병, 간화가 위로 치밀어올라서 생기는 두통, 수면 장애, 소화기 및 생식기 질환 등에 쓴다. 태충과 합곡을 배합하면 사관이라 하는데 이기활혈, 청열진경작용을 나타낸다.

- 03합곡혈
- 수양명대장경 혈자리.
엄지손가락을 둘째손가락에 붙일 때 생긴 금 끝에서 다시 제 2장골쪽으로 3푼 되는 곳에 있다. 사총혈의 1개 혈로서 이용범위가 넓다. 감기, 풍진, 두통, 편도선염, 결막염, 구내염, 중설, 치통, 안면 신경 마비, 반신 불수, 요골 신경 마비, 삼차신경통, 상박신경통, 구금, 구토, 설사, 변비, 여러 가지 경련, 진통 미약, 전간, 신경쇠약에 쓴다.

- 04수삼리
- 수양명대장경의 혈자리.
주관절을 90도로 굽히고 가로간 요골 쪽 금 끝과 요골의 바깥쪽 변연부를 연결한 선의 중간점으로부터 곧바로 2치 아래에서 단요골측 수근신근과 장요골측 수근신근 사이에서 누르면 몹시 저린 곳이다. 고혈압, 반신 불수, 경부 림프절염, 나력, 상지마비 또는 통증, 안면 신경 마비, 치통, 유선염 등에 쓴다.

- 05어제혈
- 수태음폐경의 혈자리.
형혈이며 화에 속한다. 제1장골바닥의 앞 요골쪽 손바닥 변연에서 단모지외전근과 장골 사이에 있다. 피가 섞인 가래, 토혈, 편도선염, 급성 인후염, 감기, 두드러기, 두근거림, 전흉부 동통, 유선염으로 열이 날 때, 여름에 토하거나 설사하는 데 쓴다.

- 06후계혈
- 수태음폐경의 혈자리.
형혈이며 화에 속한다. 제1장골바닥의 앞 요골쪽 손바닥 변연에서 단모지외전근과 장골 사이에 있다. 피가 섞인 가래, 토혈, 편도선염, 급성 인후염, 감기, 두드러기, 두근거림, 전흉부 동통, 유선염으로 열이 날 때, 여름에 토하거나 설사하는 데 쓴다.

- 07예풍혈
- 수소양삼초경의 혈자리.
귓방울 근부와 유양돌기 끝과의 중간점 제일 우묵한 곳이다. 이명, 이롱, 중이염, 안면신경 마비, 경련, 구금, 이하선염, 치통, 인후염, 말을 하지 못하는 데 쓴다.

- 08청궁혈
- 수태양소장경의 혈자리.
귀구슬의 맨 도드라진 곳으로부터 앞으로 3~4푼 나가서 입을 벌릴 때에 깊이 우므러지는 곳이다. 청신경염, 중이염, 외청도염, 치통, 안면 신경 마비, 실음, 현기증 등에 쓴다.

- 09인당혈
- 경외기혈자리. 두 눈 사이의 중간점이다. 두통, 현운, 콧병, 소아 경풍에 쓴다.

- 10해계혈
- 족양명위경의 혈자리.
경혈이며 화에 속한다. 해계혈은 발목 앞 장지신근건과 장모지신근건 사이의 우묵한 곳에 있다. 발목 관절 아픔, 두통, 어지럼증, 전간, 히스테리, 비장근 경련, 상검하수에 쓴다.

- 11족삼리
- 달리 삼리·하릉·귀사라고도 함.
위의 합혈로서 강장작용, 비위기능을 조화시키는 작용, 화담작용이 있다. 급·만성 위염, 위십이지장 궤양, 트림, 구토, 메스꺼움, 위경련, 딸꾹질, 곽란, 소갈, 적취, 유뇨, 복수 등에 쓴다.

- 12삼음교
- 족태음비경의 혈자리.
구역질·구토·식체·설사·식욕 부진·복통·트림·부종 등 비병과 월경 불순·자궁 출혈(이완성 자궁 출혈)·월경과다·산후 오로·대하증·미약한 진통·불임증·유정·임증·음경통·고환염 등 비뇨·생식기 질환에 쓴다.